조선시대 상인들은 어떤 장사로 어떻게 돈을 벌었을까 |
먼저 단순하고 평범한 방법이지만 무천매귀(貿賤賣貴 싼 값으로 사서 비싼 값으로 팜)도 큰 돈을 벌 수 있는 상술이다. 대표적인 예로 추수기에 비교적 싼 값으로 사들인 곡물을 춘궁기에 비싼 값으로 내다팔아 이문을 남기는 것이다. 곡물상인들은 쌀·보리·콩 등을 다량으로 매입할 수 있는 자금력, 이를 저장할 수 있는 창고와 관리할 수 있는 인력만 있으면 손쉽게 돈을 벌 수 있었다. 농촌에서 가장 쉽게 상품화할 수 있는 것이 곡물이었다. 여기에다 18세기 이래 도시에서의 임금노동자와 상공업 종사자들의 증가는 곡물의 상품화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쌀값과 공급량은 상인들에 의해 좌우되기도 하였다. 미곡상인들이 곡물을 매점하고 값을 조종하여 폭리를 취하는 농간이 심해지자, 1833년 한양에서는 시민들이 미곡전과 잡곡전을 불태우는 등 한바탕 커다란 ‘쌀소동’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매점매석, 안성맞춤의 위력 특정한 물품을 매점매석하여 부를 축적하는 형태는 ‘허생전’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집안 살림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 없이 책만 읽는다며 아내에게 닦달을 당하던 허생이 한양의 큰 부자 변 씨를 찾아갔다. 부자는 돈 벌 사람을 한 눈에 알아보고 거금을 빌려주었다. 만 냥을 빌린 허생은 안성으로 내려가 대추·밤·감·배·밀감·석류·귤·유자 등의 과일을 시가의 두 배 값으로 사서 저장하였다. 만 냥으로 과일류만 사들였으니 그 양은 대단히 많은 것이었다. 곳곳에서 잔치나 제사 등에 사용할 과일을 구하지 못해 안절부절 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과일값은 부르는 게 곧 값이었다. 허생은 시가의 두 배로 샀던 것을 10배를 받고 상인들에게 되팔았다. 소설 같은 내용이지만 매점매석의 위력을 엿볼 수 있는 모습이다.
허생이 큰돈을 벌었던 안성은 경기도와 호서지방을 접한 곳이고, 삼남지방의 어귀에 해당되는 곳이었다. 한마디로 많은 사람과 상품이 모이고 흩어지는 사통팔달의 길목으로 장사가 되는 요소를 두루 갖춘 곳이었다. 이런 조건에 안성의 상인들과 수공업자들은 남다른 기술에다 소비자의 기호를 알고 있었다. 유기를 생산하는 지역은 안성을 비롯하여 납청이나 구례 등 몇 곳이 있었다. 하지만 안성의 유기는 ‘안성맞춤’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구매자의 입맛에 맞도록 품질이나 모양새 등에서 차별성을 갖고 있었다. 안성 상인들이 지니고 있었던 상술은 소비자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파악한 눈높이 맞춤 생산에 있었던 것이다.
너나나나 할 것 없이 뛰어든 연초장사
상업계의 변화에 재빨리 편승하여 특정 물품을 생산, 판매하는 것도 가계소득을 올리는 방법 중 하나였다. 17세기 중엽 이래 연초 소비층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크게 확산되었다. 연초는 생산하면 곧바로 돈이 되는 분위기였다. 이러한 변화에 많은 농민들은 옥토를 남초전으로 전환하여 가계소득을 올렸다. 근래에 벼농사의 경쟁력이 떨어지자 논을 밭으로 바꾸려는 현상과 같은 것이다. 연초전의 확대는 정부에서 조세수입의 감소까지 우려할 정도였다. 조정에서는 농우를 함부로 잡는 것이나 술을 빚어 곡물을 허비하는 것 못지않게 연초전 확대를 금지시키려고 하였다. 숙종대 담배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남초의 비용은 비록 가난한 사람일지라도 반드시 모두 백방으로 비용을 마련하여 마치 부호가 쓰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연초를 파는 자는 이것을 팔지 못할까 하는 걱정이 없으며, 연초를 생산하는 자로서 집안을 일으키는 자가 많습니다.”
빈부와 상관없이 흡연자가 크게 늘어나 연초는 팔리지 않을까 염려하지 않아도 되고, 집안을 일으킬 정도로 장사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 몰라라하며 담배농사에 뛰어들지 않을 농민이 있을까?
예나 지금이나 통하는 이익 증대의 지름길은? 상품의 운송수단 개선과 운송시간의 단축은 이익을 증대시키는 지름길이 된다. 그리고 많은 상품을 생산지에서 직접 매입하여 판매하는 것이 수익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된다. 즉 물류비 절감과 직거래 방식인 셈이다. 실학자 박제가는 당시 유통업계의 변화상을 제대로 보고 있었다. 그는 “원산에서 말에 미역·북어 등을 싣고 사흘에 돌아오면 조금 남고, 닷새 동안 걸리면 남는 것도 손해날 것도 없고, 열흘간 머물면 크게 빚지고 돌아온다”며 이익을 남기는 기준이 운송기간의 길고 짧음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도 관청과 연결되는 것은 막대한 수익을 보장받는 통로가 되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경우가 주교역舟橋役에 참여하였던 경강상인이었다. 이들은 임금이 한강을 건널 때 배다리를 설치하는 일에 동원되는 대가로 세곡운송권을 독점하다시피 하여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한양은 가장 큰 소비도시로 전국 각지의 세곡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활용품이 집산되는 곳이었다. 경강상인들은 세곡운반권을 확보하고자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였다. 이들은 세곡을 운송하는 한편 대규모의 미곡을 조직적으로 매점함으로써 커다란 수익을 얻기도 하였다. 조선후기에는 각 지역마다 장시場市를 통한 상품유통이 활발해지고 지역 간 시장권이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개성, 동래, 의주, 평양, 한양의 상인들 중에는 자본을 축적하고, 경영규모를 확대하여 거상으로 성장하는 자들이 나타났다. 특히 의주와 동래의 상인들은 국제무역을 통해 부를 창출하였고, 개성상인들은 송방松房이라는 지역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권을 확장시켰다. 19세기 의주의 임상옥은 이조판서 박종경과 결탁하여 중국과의 인삼무역에서 독점권을 얻어 거부가 되었다. 그는 전국적으로 지점을 설치하고, 거느리는 일꾼도 70여명이나 되었다고 하니 영업규모가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케 한다.
외국과의 무역에서 필수적인 것은 상대국의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것이 관건이었다. 중국·일본과의 무역이 확대되는 가운데 한학漢學이나 왜학倭學에 밝았던 역관들이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역관이 높은 관직에 오르는 것은 쉽지 않았지만, 통역뿐만 아니라 무역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들은 사신을 수행하며 외국에 자주 드나들면서 밀무역을 부업으로 하여 상당한 부를 축적하는 기회를 만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실용외국어에 능통하지 못하면 외교는 물론이고 무역에서도 낭패를 당할 수밖에 없다. 특히 무역거래에서 어찌어찌하여 필담으로 거래를 성사시킬 수는 있겠지만 이럴 경우 밑지는 장사가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일 것이다.
온고지신으로 찾은 돈 버는 비법 한편 세상이 변하면서 사람이 살만한 곳에 대한 인식이나 상업에 대한 생각도 크게 달라졌다.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사람이 살 만한 곳으로 토지의 비옥도가 높아 생산량이 많은 곳과 함께 중요시한 것이 재화의 유통이 활발한 곳을 꼽았다. 그리고 많은 실학자들이 놀고 먹는 양반들을 상업에 종사하도록 하자는 주장까지 내놓았다. 수염이 석자라도 먹어야 양반이라고 했다. 박지원의 소설 ‘양반전’에서는 양반도 돈이 없으면 행세를 못하는 사회상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먹고 사는 현실적인 문제가 신분이나 체면보다 우선시되는 분위기로 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돈을 벌기 위해 동전의 짝퉁제조나 도량형 위조, 매점매석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몰염치한 경우도 많았다. 그래서인지 실학자 이덕무는 상인들이 물건을 팔 때에 두 가격을 부르지 말고不二價, 생활할 수 있을 정도면 그만糊口而止이라며 돈을 벌려고 애쓰지 말라고 이상향처럼 보이는 상도덕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시대의 흐름을 읽고 실천에 옮기는 자가 남보다 앞서감은 과거라고 다를 것이 없다. 돈을 버는 방법도 따지고 보면 평범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잘 벌어서 잘 써야 한다. 온고지신溫故知新하면 비법이 보일 것이다.
|
출처 : 구미문화지킴이(문화탐방단./ 옛.생활문화연구소)
메모 :